"내가 할게" vs "내가 할께"? 약속할 때 쓰는 말, 이제 헷갈리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이웃님들! 😊 여러분의 친절한 우리말 길잡이, [ 월드 뉴스 ] 오늘도 어김없이 맞춤법 고민 해결사로 나섰습니다!
친구랑 약속하거나, 아이들한테 뭔가 해주겠다고 말할 때, 아니면 직장 동료와 업무 이야기를 나눌 때도 그렇죠? "걱정 마, 내가 할게/할께.", "이따 전화 할게/할께." 이런 말 정말 입에 달고 살잖아요.
그런데 이게 또 문자나 톡으로 쓰려고 하면 갑자기 멈칫! '어? 이게 게였나? 께였나?' 하고 헷갈릴 때가 꼭 있더라고요. ㅎㅎㅎ 발음은 [할께]처럼 강하게 나는 것 같은데, 쓸 때는 어떻게 써야 할지! 저만 그런 거 아니죠? 😉
자, 오늘! 이 알쏭달쏭 헷갈리는 '할게'와 '할께', 제가 속 시원하게! 그리고 아주 확실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더 이상 고민하지 마세요!
결론부터 딱! 말씀드릴게요. 정답은 바로~~
✨ 할게 (O) ✨ 입니다!
네, 맞아요! 자신의 의지나 약속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는 '-ㄹ게'라고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ㄹ께'는 안타깝지만 표준어가 아니에요. 즉, 틀린 표기랍니다!
왜 '할게'가 맞을까요? 발음은 [할께] 같은데?
이게 바로 헷갈리는 포인트인데요! 우리가 말할 때는 종종 [할께], [갈께], [볼께]처럼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어요. 발음하기 편해서 그럴 수도 있고, 의지를 더 강조하는 느낌이 들어서 그럴 수도 있고요.
하지만! 한글 맞춤법 규정에서는 약속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를 **'-ㄹ게'**로 적도록 명확하게 정해놓았답니다. 발음이 된소리로 나더라도 표기는 예사소리(ㄱ, ㄷ, ㅂ, ㅅ, ㅈ)로 적는 원칙을 따르는 것이죠.
- 하다 + -ㄹ게 = 할게 (O) / 할께 (X)
- 가다 + -ㄹ게 = 갈게 (O) / 갈께 (X)
- 보다 + -ㄹ게 = 볼게 (O) / 볼께 (X)
- 주다 + -ㄹ게 = 줄게 (O) / 줄께 (X)
- 만들다 + -ㄹ게 = 만들게 (O) / 만들께 (X)
아주 간단한 구별법! 이것만 기억하세요!
➡️ 약속이나 의지를 나타낼 땐 무조건 '-ㄹ게'! (된소리 'ㄲ'는 쓰지 않아요!) ⬅️
자, 그럼 실생활에서 '할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올바른 예시 10가지로 확실하게 익혀볼까요?
- 걱정하지 마세요, 제가 내일 아침 일찍 갈게요.
- 이따가 시간 되면 제가 먼저 전화할게요.
- 먼저 들어가세요, 저는 이것만 마저 정리하고 갈게요.
- 네 말이 맞는 것 같아. 다음부터는 꼭 주의할게.
- 오늘 저녁 식사는 제가 맛있게 만들게요!
- 아이들 숙제는 제가 봐 줄게요, 당신은 좀 쉬세요.
- 회의 끝나면 바로 자료 보내 드릴게요.
- 너무 걱정 말고 기다려 봐, 내가 꼭 알아볼게.
- 미안해, 다음부터는 약속 시간 절대 안 늦을게 -> 늦지 않을게. (부정형도 마찬가지!)
- 이건 비밀인데, 너한테만 살짝 이야기할게.
어떠세요? 이제 '할게'와 '할께' 앞에서 더 이상 망설이지 않으실 거죠? 😉 발음은 [할께]처럼 나더라도, 글자로 쓸 때는 꼭! **'할게'**라고 써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오늘도 이렇게 우리말 상식 하나 더 알아가는 뿌듯한 시간 되셨기를 바랍니다. 저는 다음에 또 실생활에 유용한 꿀팁으로 찾아뵐게요. 늘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답을 맞히다' vs '답안지를 맞추다'? 헷갈리는 '맞히다'와 '맞추다', 이것만 알면 끝! (0) | 2025.04.04 |
---|---|
"내일 봬요!" vs "내일 뵈요!" 뭐가 맞을까요? 이제 헷갈리지 마세요! (0) | 2025.04.04 |
곰곰히? 곰곰이? 생각할 때마다 헷갈리시죠? 속 시원히 알려드릴게요! (0) | 2025.04.04 |
"왠만하면 참아" vs "웬만하면 참아"? 드디어 종결! 헷갈림 끝! (0) | 2025.04.04 |
성공률? 할인율? 맨날 헷갈리는 '율'과 '률', 속 시원히 구분해 드려요! (0)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