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및 생활 정보 꿀팁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원인, 증상 및 치료법

by 알렉시안 2025. 3. 17.
반응형

쎔네일

 

 

1. 모야모야병이란?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은 뇌혈관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혀 혈류 공급이 부족해지는 희귀 질환입니다.
뇌의 주요 동맥(내경동맥 끝부분)이 서서히 막히면서, 새로운 작은 혈관들이 비정상적으로 생성되는데, 이 모습이 연기처럼 보여 '모야모야(もやもや, 흐릿한 연기)'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위험이 높은 질환
 소아와 성인 모두 발병 가능하지만, 510세 어린이와 3050세 성인에게 주로 발생
 유전적 요인 및 혈관 염증과 관련


2. 모야모야병의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음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가능성이 높음
✅ 자가면역 이상: 면역 시스템 이상으로 인해 뇌혈관이 좁아질 수 있음
✅ 혈관 염증 및 대사 이상: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 위험 요인

⚠️ 아시아인(특히 일본, 한국, 중국)에서 발병률이 높은 편
⚠️ 여성이 남성보다 1.8배 더 많이 발병


3. 모야모야병 초기 증상

증상은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소아 (5~10세)

  • 일시적인 뇌허혈 발작(TIA): 손, 발 마비, 언어 장애, 일시적 시야 장애
  • 뇌졸중(뇌경색): 혈류 부족으로 인해 뇌조직이 손상
  • 두통, 어지럼증
  • 발작(경련)

 성인 (30~50세)

  • **뇌출혈(뇌 속 혈관이 터짐)**로 인해 갑작스러운 두통 및 의식 소실
  • 반신 마비, 언어 장애, 감각 이상
  • 기억력 저하 및 치매 유사 증상
  • 손, 팔이 저리거나 일시적인 힘 빠짐

⚠️ 뇌졸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방문 필요!


4. 병원 진료 및 검사 비용

 어떤 병원과 과를 가야 하나?

  • 신경과(뇌졸중 클리닉), 신경외과 방문
  • 소아라면 소아 신경과 진료 필요

 검사 비용

  • MRI/MRA 검사 (뇌혈관 상태 확인): 50~100만 원
  • 뇌혈류검사(SPECT, PET): 100~200만 원
  • 뇌혈관 조영술(DSA, Angiography): 80~150만 원

 치료 및 수술 비용

  • 약물 치료(혈액순환 개선제, 항응고제): 월 10~30만 원
  • 혈관 우회술(뇌혈류 개선 수술): 500~1,500만 원
  • 입원 비용: 하루 20~50만 원 (병원 및 치료 방법에 따라 다름)

⚠️ 초기 발견 후 치료하면 뇌졸중 위험을 낮출 수 있음
⚠️ 건강보험 및 희귀질환 지원 제도 활용 가능


5. 모야모야병의 치료법

 비수술적 치료 (경증 환자)

  • 항혈소판제(아스피린) 복용: 혈전(혈액 응고) 방지
  • 혈압 관리, 식습관 개선
  • 뇌졸중 예방 치료

 수술 치료 (혈관이 심하게 좁아진 경우)
1️⃣ 간접 혈관 우회술 (EDAS, EMS 등)

  • 두피 혈관을 뇌 표면에 이식해 혈류 공급 증가
    2️⃣ 직접 혈관 우회술(STA-MCA Bypass)
  • 두피 동맥을 직접 뇌 동맥에 연결해 혈류 확보
    3️⃣ 조합 혈관 우회술
  • 직접 & 간접 수술 병행

⚠️ 치료하지 않으면 뇌졸중 위험 증가!


6. 모야모야병과 몸의 변화

 뇌기능 저하: 기억력 감퇴, 인지 기능 감소
 신체 마비: 손, 팔, 다리 힘 빠짐
 심한 두통: 뇌혈류 부족으로 만성 두통 발생
 시야 장애: 시력이 저하되거나 사물이 흐려 보임
 뇌졸중 후유증: 마비, 언어 장애 지속 가능


7. 모야모야병과 체중 변화 (몸무게 영향)

 체중 감소 가능성

  • 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신진대사 변화
  • 식욕 저하, 우울증 동반 가능성

 체중 증가 가능성

  • 스테로이드 치료 시 부작용으로 체중 증가
  • 활동량 감소로 인해 근육량 감소 & 지방 증가

8. 모야모야병은 전염병인가?

🚫 전염되지 않음

  •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이 아니라 유전적 요인과 혈관 이상으로 발생
  • 일반적인 접촉, 호흡기로 감염되지 않음

⚠️ 하지만 가족력(유전적 요인)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 증가


9. 국가별 모야모야병 관리법

 대한민국

  •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 (건강보험 적용 가능)
  •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전문 치료 센터 운영
  • 정부 지원 연구 진행 중

 미국 (NIH, Mayo Clinic)

  • 신경외과 및 뇌졸중 전문 병원에서 치료
  • 유전자 연구 진행 중

 일본 (Tokyo University Hospital)

  • 세계에서 모야모야병 연구가 가장 활발
  • 조기 진단 및 치료 시스템 구축

10. 병원 추천 (한국 기준)

🩺 모야모야병 전문 치료 병원
 서울

  • 서울대병원 신경과/신경외과
  • 삼성서울병원 뇌졸중센터
  • 세브란스병원 뇌혈관센터

 부산/경남

  • 부산대병원 신경외과
  • 고신대병원 뇌신경센터

 대구/경북

  • 경북대병원 뇌졸중 클리닉

 광주/전남

  • 전남대병원 신경외과

 대전/충청

  • 충남대병원 뇌혈관센터

📌 결론

모야모야병은 뇌혈관이 점점 좁아지는 희귀 질환으로 뇌졸중 위험이 높은 병입니다.
 조기 발견 후 치료하면 예후가 좋음
 신경과/신경외과 방문 필수
 필요시 수술 치료로 혈류 확보 가능

반응형

댓글